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프리카의 새로운 경쟁자?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치지직에 대해 알아보기

by 클리어850 2024. 7. 9.
728x90
반응형

네이버가 운영하는 '치지직'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게임 특화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한 이후, 치지직은 빠르게 주목받으며 많은 이용자를 유입시키고 있습니다.

 

치지직 로고

 

최근 AI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네이버는 검색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OpenAI와 손을 잡은 Bing이 검색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고, 전통의 강호 Google에도 점점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습니다. 아직은 맛집 블로그 검색 등에는 특화되어 있다고 하지만 네이버 내부에서도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현재 네이버 검색도 여러가지 시도를 통하여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데, 새로운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도 그에 일환으로 보입니다. 그럼 오늘은 치지직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치지직의 특징

 

치지직은 '초록색 트위치'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트위치와 비슷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 경험(UX)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위치에서 이주해온 스트리머와 시청자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게 합니다.

 

네이버와의 연동

 

네이버 페이를 통한 후원 시스템이 치지직의 큰 장점 중 하나 입니다. 네이버 쇼핑 과정에서 적립되는 포인트로 스트리머를 후원할 수 있어, 충전을 해야 하는 타 시스템에 비해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습니다.

 

엄격한 가이드라인

 

치지직은 한국의 실정법에 기반한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흡연, 음주, 규정상 허용되는 노출 등은 청소년 이용불가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하며, 가이드라인 위반에 대한 제제가 엄격합니다.

 

스트리머와 시청자 간의 소통 강화

 

스트리머가 직접 채팅 규칙을 정할 수 있으며, 채팅 대기시간 부여 등의 기능을 통해 스트리머와 시청자 간의 올바른 스트리밍 문화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스트리머 방송과 e-스포츠  방송의 카테고리를 분리하여 보다 명확한 콘텐츠 구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빠른 성장세

 

치지직은 트위치의 철수로 인해 많은 스트리머와 시청자를 빠르게 유입시키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약 95만명의 사용자를 유입시켰으며, 이 중 77%가 트위치 이용자였습니다.

 

경쟁 플랫폼과의 비교

 

치지직은 아프키라TV와 경쟁하며 스트리밍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전통의 강호 네이버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조금더 편리한 네이버페이를 통한 후원 시스템을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징 치지직 아프리카TV
운영사 네이버 주식회사 숲
출시 시기 2023년 2006년
주요 콘텐츠 게임스트리밍, e스포츠 게임, 먹방, 스포츠, 다양한 라이브
후원 시스템 네이버페이 연동(치즈) 별풍선
가이드라인 한국 실정법, 엄격한 규제 상대적으로 유연한 규제
사용자 접근성 네이버 계정으로 쉽게 접근 가능 이메일 및 휴대전화 인증 필요
지연 시간 안정적인 지연 시간 플랫폼 및 기기에 따른 지연 시간 차이 존재
채팅 기능 스트리머가 직접 설정 가능 다양한 채팅 모드(팔로워 전용, 구독자 전용)
다시보기 기능 제공 제공
텍스트 음성변환 제공 x
주요 사용자층 트위치 이주 사용자 10대와 20대 주류, 다양한 연련층
월간 활성 사용 227만명(2024년 3월 기준) 248만명(2024년 3월 기준)

 

 

제가 직접 체험해본 경험으로는 네이버에서 서비스 하는 치지직이 스트리밍 안정성이나 화질이 더 좋은 느낌이었습니다.

해외 유저들도 고화질로 감상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평입니다. 하지만 아프리카는 오랜시간 서비스를 해왔고, 강력한 스트리머들을 보유하고 있어 앞으로 경쟁이 어떻게 이루어질지 궁금합니다.

 

728x90
반응형